(서울시NPO지원센터)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지수 연구 (2012.12)
첨부파일 :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지수연구.pdf
(서울시NPO지원센터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활동가의 삶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하위 지표를 토대로 각 요인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여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 지수'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공익활동지수를 조사하기 이전에 선행연구로서 2020년에는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에 대해 당사자인 활동가들이 갖고 있는 인식 정도와 그 인식 속에서 잠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과정의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 지표'를 개발하게 됩니다.
이번 연구는 그 지표(상위 9개 요인 지표, 80개 하위 세부지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심화시키고,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델파이조사 기법, 쌍대비교 분석, 계층화 분석을 적용하였습니다. 그 다음 단계는 산출된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전국 758명의 활동가의 데이터를 표집하여 공익활동지수로 산출하였습니다. 9개 요인의 가중치는 활동만족도(0.16), 조직문화(0.14), 활동가 정체성(0.14), 건강(0.13), 동료관계(0.10), 급여(0.10), 스트레스(0.09), 학습고 쉼(0.08), 역량(0.0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익활동지수를 산출했을때, 100점을 기준으로 64.6점이라는 지수가 나오게 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지수'를 본격적으로 조사한 적이 없으므로 지수 자체를 비교 설명할 수 없지만 지수를 토대로 활동가의 삶과 활동이 좀 더 건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제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바랍니다.
■ 보고서 목차
1. 요약
2. 서론 : 연구배경과 목적
3. (연구1) 가중치 산출을 위한 델파이조사 및 AHP 분석
4. (연구2) 지수산출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5. (지수산출) 가중치와 요인평균값
6. 결론 : 함의와 한계
7. 참고문헌
8. 부록
이 연구는 활동가의 삶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하위 지표를 토대로 각 요인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여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 지수'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공익활동지수를 조사하기 이전에 선행연구로서 2020년에는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삶과 활동에 대해 당사자인 활동가들이 갖고 있는 인식 정도와 그 인식 속에서 잠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과정의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 지표'를 개발하게 됩니다.
이번 연구는 그 지표(상위 9개 요인 지표, 80개 하위 세부지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심화시키고,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델파이조사 기법, 쌍대비교 분석, 계층화 분석을 적용하였습니다. 그 다음 단계는 산출된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전국 758명의 활동가의 데이터를 표집하여 공익활동지수로 산출하였습니다. 9개 요인의 가중치는 활동만족도(0.16), 조직문화(0.14), 활동가 정체성(0.14), 건강(0.13), 동료관계(0.10), 급여(0.10), 스트레스(0.09), 학습고 쉼(0.08), 역량(0.0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익활동지수를 산출했을때, 100점을 기준으로 64.6점이라는 지수가 나오게 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공익활동지수'를 본격적으로 조사한 적이 없으므로 지수 자체를 비교 설명할 수 없지만 지수를 토대로 활동가의 삶과 활동이 좀 더 건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제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바랍니다.
■ 보고서 목차
1. 요약
2. 서론 : 연구배경과 목적
3. (연구1) 가중치 산출을 위한 델파이조사 및 AHP 분석
4. (연구2) 지수산출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5. (지수산출) 가중치와 요인평균값
6. 결론 : 함의와 한계
7. 참고문헌
8. 부록